통계청 통계개발원에서 올해 초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기업 규모별 신기술 도입률이 나타나 있습니다. 300인 이상 대기업 24.5%와 300인 미만인 중소기업 12.1% 정도의 기업들이 신기술을 도입한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이 중 AI를 도입한 대기업은 9.2%, 중소기업은 2.9%로 약 3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기업에서는 AI의 장점을 인지하고 있어도, 막대한 자원을 AI 기술에 투자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2. 인사관리 플랫폼 무료 지원
AI 뿐만 아니라 다양한 HR IT인프라를 활용하고 있지 못하는 중소기업도 다수 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10월 17일 약 13개의 인사관리 플랫폼과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소규모 사업장 500개, 약 1만명의 근로자가 근로자들의 출퇴근기록 관리 및 급여정산 등의 인사업무를 간편하고 빠르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을 무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AI 인사관리시스템을 도입하는데 한계가 있는 중소기업에서는 인터넷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하는 HR 플랫폼 시스템을 활용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일가정양립과 일생활균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유연근무제 활용에 대한 니즈 또한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연근무제를 활용하고자 하는 니즈는 있으나, 활용방법 및 법적 검토 사항 등으로 인해 도입을 망설이는 기업들을 위해 고용노동부에서 유연근무 활용 매뉴얼을 발간하였습니다.
시차출퇴근제 및 선택근무제, 재택원격근무제, 근로시간 단축제의 4가지 제도에 대해 상세하게 안내되어있으므로, 유연근무제를 도입/활용하길 희망하는 기업에서는 참고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