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2.14. 제03호 할일(HR)알림 |
|
|
안녕하세요, 한국능률협회컨설팅 HR혁신센터입니다.
설 연휴는 잘 보내셨는지요. 올 한해도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더불어 HR혁신센터에 대한 많은 관심도 부탁드립니다.😊
요즘 주 4일제에 대한 관심이 아주 뜨겁습니다. 주 6일제에서 주 5일제로, 그리고 이제 주 4일제의 시대가 열린다고 하는 이 시점에서 '우리 회사도 정말 주 4일제를 할 수 있을지' 하는 고민이 있으실 거라 생각이 듭니다.
최근 들어 많은 기업들이 주 4일제 뿐만 아니라 시차출퇴근제, 선택근무제 등 여러 형태의 유연근무제를 도입 및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주 4일제를 포함한 다양한 유연근무제'에 대해 안내드리고자 합니다. |
|
|
🔔
주 4일제? 선택근무제? 도대체 유연근무제,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
|
|
1. 주 4일제에 대한 MZ세대의 생각
성인남녀 4,15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0명 중 8명이 주 4일제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한다고 응답했습니다. 주 4일제 찬성에 대한 가장 큰 이유는 근로자들의 휴식이 보장되고 워라밸 문화가 정착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 뒤로 업무 효율 상승, 건강 관리 등의 이유가 잇따랐습니다.
또한 최근 조사에 따르면, Z세대 취준생 7,076명 중 53%가 주 4일제 도입으로 연봉을 삭감해도 괜찮다는 의견을 내비쳤습니다.
이처럼 MZ세대는 일생활균형 즉, 워라밸에 대한 니즈가 굉장히 높습니다. MZ세대를 사로잡기 위해 기업에서는 주 4일제를 포함한 여러 유연근무제도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
|
|
MZ세대 내 우수 인력을 영입하기 위해서는 '주 4일제를 도입해야 하나' 고민하고 계시는 인사담당자분들이 계실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주 4일제를 도입하기에는 취업규칙, 근로계약서 등을 변경해야 하는 부담스러운 부분이 존재합니다.
우수한 MZ세대 인력을 영입하는데 주 4일제 도입만이 답은 아닙니다!
다양한 형태의 유연근무제가 주 4일제보다 더욱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퀼트릭스에서 유연근무에 대한 한국 직원들의 의견을 연구한 결과, 유연근무가 주 4일 근무보다 직원들의 근속 동인에 있어 약 10% 정도 높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2022.05(퀼트릭스 연구), 만 18세 이상 한국 정규직 대상⋅비정규직 근로자 1,010명 대상
|
|
|
3. 효과적인 유연근무제 어떻게 시작하면 좋을까?
유연근무제는 매우 다양한 형태를 띠고 있지만,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 할 수 있습니다.
- 선택근무제 : 주 40시간 범위 내에서 근무/출퇴근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근무제도
- 시차출퇴근제 : 1일 8시간 근무를 준수하면서 출퇴근시간을 조정하는 근무제도
- 재택·원격근무제 : 주거지, 원격근무용 사무실 등에 업무공간을 마련하여 근무하는 제도
우리 회사에 적합한 유연근무제는 무엇이며, 어떻게 도입해서 활용해야 할지에 대한 어려운 부분이 있으실 거라 생각이 듭니다. 고용노동부에서는 유연근무제 도입 및 활용을 고민하고 있는 중소⋅중견기업들에게 무료 HR 컨설팅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유연근무제 종합 컨설팅>사업은 중소⋅중견기업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을 실시하여 유연근무제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제도화를 지원하는 컨설팅 사업입니다.
기업 현황 분석부터 제도 설계, 이행지원까지 지원이 가능하며, 기업에서 희망하는 유연근무제가 원활하게 정착 및 운영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저희 HR혁신센터는 <일터혁신 컨설팅>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장시간 근로개선, 사업장에 적합한 근무체계 개선, 고용문화 개선 등 다양한 HR 영역에 대한 컨설팅을 진행합니다.
전액 무료 정부지원 사업을 통해서 우리 회사도 유연근무제 시작할 수 있습니다!!
|
|
|
HR 관련 궁금증을 [의견 남기기] 에 남겨주세요. 다음 뉴스레터에서 해소해드리겠습니다. |
|
|
🔔 오늘의 정부지원 사업, "유연근무 장려금 지원"
유연근무제 도입으로 MZ세대와 정부지원금, 두 마리 토끼 모두 잡을 수 있는 방법!
근로자들의 일생활 균형과 일가정 양립 문화를 위해 중소·중견기업들에게 [유연근무 장려금]을 지원합니다. 기존의 지원범위였던 '선택근무제', '재택·원격근무제'에서 '시차출퇴근제'를 포함되어 지원 가능한 범위가 넓어졌습니다.
- 지원 대상 : 우선지원 대상기업(중소기업) 또는 중견기업의 사업주
- 지원 유형 : 선택근무, 시차출퇴근, 재택근무, 원격근무
* 시차출퇴근의 경우, 육아기 자녀를 둔 근로자만 해당
|
|
|
- 신청 방법 : 고용24 접속 → 기업회원 로그인 → 기업지원금 → 유연근무
|
|
|
한국능률협회컨설팅 HR혁신센터kmacwpi@kmac.co.kr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01, 8층 KMAC 02-3786-0321수신거부 Unsubscribe |
|
|
|
|